안녕,

나 양벼락이야.

하이루? (^ㅡ^)/ 엘덕들아, 드디어 대망의 덕터뷰 최승윤 편을 시작하게 되었어! Hooray! 조정은&최승윤 편 >> 조정은 편 >> 최승윤 편을 쓰기로 계획을 짠 이유는 단 하나야. 최최애의 작품 세계를 내가 글로 표현하기에는 너무나도 필력이 부족하여 미루고 미룬 것이지 (내 필명 양벼락 된 이유 = 어려운 건 데드라인까지 미룬다 ㅋㅋㅋㅋ)


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이야기 해보자면, 최최애의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터스텔라' 시청이 필수야. 그리고 블랙홀에서 시공간 왜곡이 일어난다는 점, 사건의 지평선을 넘으면 외부와의 정보 교환이 불가능 하다는 점, 일반 상대성 이론만으로는 블랙홀 내부를 설명하는 것이 어려워 양자 역학과 통합이 필요하다..는....점... 을 다 이해할 필요는 없어. 내가 문과긴 하지만 어떻게든 잘 전해볼게 ㅋㅋㅋㅋ


<인터뷰를 빙자한 덕질, 덕터뷰> 최승윤 1편

너 참 예쁘다, 기특하다, 대단하다.

심호흡 한 번 하고 시작하자.

💬 엘덕후: 조정은 작가님은 주변에 사용되었던 물건들에 대한 세심한 관찰에서 시작되어서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작업을 하고 계시고 있는데 우리 최승윤 작가님은 추상화이면서도 정형화되지 않은 느낌의 작업들을 하시잖아요? 그런 스타일은 어떻게 잡게 되셨어요? 원래부터 추상적인 작업을 시작하신 건가요?


아 나 최최애 작업세계 쓰기 시작하기도 전에 긴장돼. 잘 풀어낼 수 있겠지?


🔵 최최애: 사실 굉장히 평범한 고민에서부터 시작이 되는 거였어요. '같은 대사라도 저 사람이 이야기하면 재미있는데 왜 내가 이야기하면 재미가 없지? 저 사람하고 나하고 크게 다른 것 같지 않은데 왜 저 사람은 잘 하고 나는 못하지?' 이렇게 인간만이 캐치할 수 있는 분명히 '다른 점'이 있어요. 우리가 너목보(tvN 프로그램 '너의 목소리가 보여') 같은 것을 볼 때 한 소절만 들어도 이 사람이 실력자인지 아닌지를 알 듯이요. 그 소리를 컴퓨터가 분석하면 약간의 차이 혹은 전혀 차이가 없는 것처럼 분석할 수도 있는데, 인간은 알죠. 넘사벽의 차이라는걸요.


엘덕후의 정리 1. 인간은 누가 잘하고 못하는지 그 한 끗 차이를 귀신같이 알아본다.


🔵 최최애: 인간은 왜 그런 것에 반응을 하고, 좋아하고, 따라가는 것인가를 고민하게 됐고, 인간이 컴퓨터 속에 있는 하나의 코드다라고 보고 연구를 해본거에요.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면 쿠퍼가 블랙홀에 들어가서(=시공간을 넘나들어서) 머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잖아요. 쿠퍼가 시공간을 뛰어넘는 걸 미래의 인간들이 도와줬는데, 왜 미래의 인간들은 머피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쿠퍼를 통해서 전달하기로 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저의 개인적인 답은 '머피와 쿠퍼는 하나의 코드로 묶여있어서 시공간을 초월하는 것이 가능하다'였어요.


엘덕후의 정리 2. 인간이 좋아 보이는 것에 반응하는 이유를 고민하다보니 인간이 컴퓨터 속 하나의 코드라고 보게 되었고, 하나의 코드로 묶여있는 사람들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반응할 수 있다.


🔵 최최애: 그런데 시공간을 뛰어넘어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할 때 왜 블랙홀로 들어가서 전달을 해야 하는 것이냐? 블랙홀 안에는 이미 모든 일이 다 이루어져 있는데 그게 시간이라는 개념과는 무관하게 모든 정보가 압축되어 있는 하나의 점 상태인 것이죠. 마치 게임 씨디에 모든 정보가 적혀있고 그 씨디를 읽어야 게임을 플레잉 할 수 있듯이, 사람의 삶도 이미 모든 정보가 쓰여 있는 블랙홀을 읽고 있는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우리는 이미 블랙홀 속에 있는 거죠. 그리고 그 정보 중에 자신이 맞는 코드가 있다면 그 코드에 끌려서 가는거죠. 중력이 작용하듯이요.


엘덕후의 정리 3. 시공간을 초월하여 메시지를 전하는 블랙홀 안에는 모든 정보가 이미 기록되어 있고, 우리도 블랙홀 안에 존재하며 블랙홀 속에 적힌 코드를 읽어나가는 것이다.

강한 생명력을 가진 팬지와, 다 타버려서 쓰임을 다하였지만 팬지의 다리로 다시 태어난 성냥!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1, 캔버스에 아크릴, 60.6x40.9cm, 2020

심호흡 한 번 하고 시작하자.

브..블랙홀 안 빨려들어가고 잘 살아있니 엘덕들아? 아직 끝나지 않았어. 차근차근 따라와봐.


🔵 최최애: 그런데 인간이 한계를 하나 가지고 있어요. 인간은 인과율에 의해서만 사건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블랙홀을 읽기 위해서는 시간이을 수 있는거에요. 우리가 꾸는 꿈의 대부분은 몇 초, 몇 분 동안 꾸는 것에 불과한데 그게 몇 시간처럼 느껴질 때가 있잖아요. 꿈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양이 엄청 많은데, 나 자신이 이것을 이해하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1초도 몇 시간처럼 느껴질 수 있는거에요. 그런데 블랙홀은 엄청나게 많은 양을 저장하고 있으니 우주를 이해하는데 무한의 시간이 걸리게 되는 것이죠. 그림의 근본적인 힘이라는 것도 사실은 인간이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을 하느냐에 달려있어요. 그 근본적인 힘이라는 것은 결국 역설적인 것이에요. 우리 세계가 블랙홀 안에 있다는 가설도 있잖아요. 블랙홀 안에 들어가면 끝없는 중력이 생기고, 중력이 극도로 강해지는 구간으로 들어가면 사건의 지평선이 생겨서 그 다음부터는 블랙홀 안에서 나올 수가 없게 되는데요. 블랙홀 밖에서 블랙홀 안에 들어간 사람을 보면 멈춰있죠. 블랙홀 밖과 안의 시간이 다른거에요. 쿠퍼와 머피의 시간이 다르게 흘러가듯이요. 제가 생각할 때는 블랙홀 안에 들어가버리면 강력한 중력때문에 못 나오게 되고, 그 말은 곧 세상이 무한대로 넓어지는 것과 같아요. 우리가 세상의 끝으로 아무리 가려고 해도 무한대로 넓어진다는 뜻은 우리가 블랙홀 밖에서 블랙홀을 보지만, 한 편으로는 블랙홀에 들어가있기 때문에 것일 수도 있는 것이죠.


엘덕후: 블랙홀 안에 있는데 밖에 있다, 라는 점에서 역설이 나오는 거군요.


엘덕후의 정리 4. 블랙홀 안과 밖은 시간이 다르게 흘러가고 있고, 블랙홀 안에 있는 사람에게는 무한의 중력 때문에 세상이 무한대로 넓어지는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우리의 

강한 생명력을 가진 팬지와, 다 타버려서 쓰임을 다하였지만 팬지의 다리로 다시 태어난 성냥!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1, 캔버스에 아크릴, 60.6x40.9cm, 2020

콩콩팥팥

덕터뷰 조정은&최승윤 편과 덕터뷰 조정은 편을 연달아 쓰면서 생각난 사자성어(?)야.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나는구나! 조최애의 그림을 보면서, 조최애를 개인적으로 만나면서 '그림처럼 작가가 밝고 명랑하구나, 아니 그림이 작가처럼 밝고 명랑하구나' 라는 생각은 있었어. 그런데 덕터뷰를 진행하니 밝고 명랑한 것이 이 작가와 이 작품의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라구.


"제가 키는 작지만 저는 굉장히 건강해요!"

"그림 그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서점에서 알바를 해본 적은 있지만 늘 그림 그릴 생각이었어요."

"자기 쓰임을 다 하고 사라져가는 것들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서 세밀하게 그리고 있어요."

"눈 속에서 활짝 피어있는 팬지 꽃이 기특하고 대단하더라구요."


본인 그 자체와 주어진 삶을 소중히 여기고 가꿔나가는 조최애의 단단하고 꽉 찬 마음. 그 마음이 있기 때문에 다른 사물에 대해서도 "너 예뻐, 넌 참 소중해"라고 말해주는 듯한 작품이 나온 것이 아닌가 싶어. 이 덕터뷰를 쓰면서 조최애의 작품 이미지들, 전시 사진들, 작업노트들을 정말 꼼꼼히 여러번 읽었어. 읽고 재구성하고 지우고 하는 과정 속에서 나도 이 사람처럼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어. 늘 자신을 부족하게 여기는 나와는 다른 사람이라서 작품이 더 멋져보이기 시작한달까. 아무리 사심을 담아서 덕터뷰 진행하고 있긴 한데 사심이 더 커지는 부작용도 생기네 ㅎㅎㅎ


아휴, 돈 많이 벌어야하는 이유 또 생겼어. 엘덕들아, 우리 돈 많이 벌어서 우리 다같이 조최애 작품 콜렉터 되자. 그래서 조최애가 가진 빛나는 에너지가 담긴 그림 보면서 매일매일 나 자신을 사랑해주고 우리 주변을 살뜰히 살피며 살아보자.

조정은의 작가 노트

저는 사라져가는 사물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가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사물을 그리다 보니 사물에는 그 시대에 상황, 시간, 문화들이 녹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는 같은 공간에서 살고 있지만 서로 다른 시간들을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시간은 사물에 녹아 있습니다. 비디오, 워크맨, 플로피 디스크, 공중전화기, 자개장, 뻐꾸기 시계 등 제가 기억하는 사물들은 누군가는 전혀 알지 못하는 의미 없는 사물들입니다. 저는 그렇게 의미를 잃어가는 사물에 작품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는 일이 즐겁습니다. 저는 이 시대에 태어난 저라서 가능한 작업을 하고 싶습니다. 저는 단지 재현을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이 시대에 감각으로 할 수 있는 가능한 구성과 상상을 작업으로 표현하고 싶습니다. 사물에 대한 고정관념에 벗어나서 더 자유롭고 재미있게 작업을 확장하고 싶습니다. 

More Interviews.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밴드
floating-button-img